본문 바로가기
강좌

RAW vs JPG

profile
2011.07.01 09:01 댓글:2 조회:6,647

raw_jpg.jpg

대부분의 dSLR 카메라와 하이엔드 컴팩트 카메라에서 저장 파일 형식을 고를 수 있습니다(또는 RAW + JPG 동시 저장).
어떤 파일 형식을 사용하는가는 촬영가 자신이 선택해야 할 사항이고 서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음글을 참고하시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JPG(JPEG)

* RAW에 비해서 작은 파일 크기
* 특별한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대부분의 환경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편집하여 저장 할 때마다 품질이 떨어진다.
* 카메라 내부에서 JPG로 처리/저장되면서 이미 설정되어 있는 컨트라스트, 샤픈, 채도, 렌즈 수차등이 자동으로 적용된다.

RAW

* 카메라 센서가 받아들인 데이터를 모두 저장
* 편집 프로그램에서 더 많은 조절이 가능
* 읽기 전용 파일이기 때문에 원본 유지가 용이
* 압축되지 않고 저장되기 때문에 파일 크기가 크다.
* 변환 프로그램을 거쳐야 사용이 가능.

RAW 파일은 카메라 센서가 받아들인 데이터를 그대로 파일로 저장합니다. 즉, 완전히 순수한 원본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카메라의 설정을 바꿔 JPG (또는 TIFF)로 저장하게 하면 어떤일이 생길까요?

카메라 센서가 받아들인 데이터를 카메라에 이미 프로그램되어 있는 수치(contrast, saturation, 샤픈, 화이트 밸런스, 노이즈 제거등)들이 자동으로 적용되어 저장됩니다. 카메라 메이커, 기종에 따라서 이런 수치들은 다르고 이 작업을 수행하는 내장된 프로세서의 능력에도 영향을 받습니다(참고: 이런 수치들은 촬영자가 카메라 메뉴상에서 조절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캐논의 픽쳐 스타일).

즉, 대부분의 경우에 RAW 파일을 그대로 열어보면 아무런 처리가 되지 않아 JPG에 비해 선예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원본 파일(RAW)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카메라 내에서 자동으로 수행되는 처리 과정을 직접 조절할 수 있고 동일한 보정을 했을때 JPG보다 결과물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용 프로그램을 다루는 방법을 익혀야 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따릅니다. 그렇지만 디지털 시대에서 능력있는 작가라면 디지털 파일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이끌어 내는 능력을 가지는 것도 필요합니다. 자신만의 디지털 워크플로우(digital workflow)에 익숙 해 진다면 그 시간도 많이 절약할 수 있게됩니다.

필름 카메라 시대에도 많은 사진 작가들이 자신만의 작품을 표현하기 위해 각자의 방법으로 직접 현상을 하였습니다. RAW 로 촬영하여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을 거쳐 최종 결과물을 뽑아내는것은 마치 예전의 필름 원본과 현상의 과정과 같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즉, 디지털 파일의 원본 -> 현상 과정 -> 결과물의 순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많은수의 국제 수중 사진 대회에서 JPG 파일과 RAW 파일의 동시 제출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RAW 파일로 촬영하고 JPG 변환한 파일을 함께 제출하면 심사시에 RAW 파일과 JPG 파일을 비교하여 촬영가의 의도 그리고 미리 정해둔 룰을 어기는 조작 여부도 가려내기 위함입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사진의 후보정은 때에 따라 필요하고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것에 절대적인 의지는 자칫 "대충 찍어 보정"한다는 위험한 발상의 계기가 될 수 도 있습니다. 원본이 좋지 않은 사진은 아무리 보정해도 좋지 않은 사진이며 좋은 원본을 더욱 빛나게 할 수 있는 것이 후보정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또한 여기서 보정의 의미는 "향상(enhancement)" 또는 "최적화(optimization)"를 의미하며 "조작(manipulation)"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RAW 파일의 장점의 예제

 RAW 파일의 가장 큰 장점중 하나는 촬영후 화이트밸런스 조정이 상당히 자유롭다는 점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Color noise가 많이 발생(특히 노출 부족인 경우)하는 경우도 있지만 JPG 파일로는 불가능(또는 매우 힘든)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wb01.jpg

캐논 550d, tokina 10-17mm, f8, 1/180sec, iso 200, 자동 화이트밸런스

 

위는 수심 약 2미터에서 카메라의 화이트밸런스는 자동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연광으로만 촬영한 사진입니다.

picker01.jpg

 

원본의 화이트밸런스 값입니다(왼쪽). 라이트룸의 Colour picker tool을 사용해서 사진 하단에 흰색이라고 판단되는 지점을 찾아 클릭하여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해 보았습니다(아래).


picker02.jpg

 

결과물(아래 사진)입니다. 원본에 비해 색상과 컨트라스트가 많이 살아났습니다.


 

두번째 예제입니다. 카메라의 화이트밸런스를 실수로 Tungsten으로 놔두고 촬영하였습니다(아래 사진 왼쪽).

하지만 RAW 파일로 촬영했기 때문에 화이트밸런스를 라이트룸에서 자동으로 리셋할 수 있었습니다(오른쪽).

 


캐논 450d, 100mm, f11. 1/200sec, iso 200


스트로브의 색온도와 물색

Eunjae [스트로브] 07.31 6,106

자작 스눗~ 동현님 따라하기 ^^; [3]

막다이버(조성철) [DIY] 07.22 4,438

Xit 404 Underwater Tripod [6]

Eunjae [악세사리] 07.09 5,097

접사 렌즈 테스트 - 캐논 250d, 500d, UN-PCU01. Inon UCL-165M67, Subsee [6]

Eunjae [악세사리] 07.09 6,611

Tokina 10-17mm FE vs Sigma 8-16mm 화각 비교

Eunjae [렌즈] 07.08 5,642

해와 햇빛 갈라짐 촬영 - Sunball & Sunburst [8]

Eunjae [강좌] 07.05 8,539

화이트밸런스, 색온도 - White balance, Color temperature

Eunjae [강좌] 07.04 13,935

노출, 조리개, 셔터 속도, ISO, 피사계심도

Eunjae [강좌] 07.02 135,650

수중 촬영을 위한 렌즈 선택 - DSLR / 미러리스 [6]

Eunjae [강좌] 07.01 12,884

RAW vs JPG [2]

Eunjae [강좌] 07.01 6,647

목록